반응형
지속 유목님님이 쓰신 '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' 라는 책으로
주식을 공부하고 있습니다.
좋은 종목을 고르는 법으로...
직장인들이 기업분석 할 시간이 어디있냐?
하지만 최소 다트에 들어가 '분기보고서'를 꼭 살펴보라고 하셨는데요.
여기서 '주식총수'라는 말이 나옵니다.
주식총수 어렴풋이 아는데...
이번기회에 다시 정리하며 공부 한 내용 정리 및 공유 합니다.
[주식의 총수]
상장사는 기업이 존속하는 동안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관에 기재해야함.
설립할 때 발행한 주식 수도 함께 기재.
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설립 시 주식총수의 4배를 넘지 못한다.
기업주라고 해서 무한정 주식을 찍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.
이 부분이 중요한 이유는
증자나 감자를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.
증자는 있었지만,
감자는 없었는지에 대해 확인 할 것이라는 것을 강조.
[분기보고서에서 '주식총수' 보는법?]
다트에 접속하여 '한창제지'를 검색 해 보았습니다.
그러면 해당 주식에 '한창제지'의 분기보고서가 나오는데요.
여기 '회사의 개요' 부분에 4번항목에 '주식의 총수 등'을 눌러보시면 주식의 총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제가 가지고 있었던 한창제지의 분기보고서를 살펴보니 감자수가 보이는데요.
수치가 낮은 숫자는 아닌 것 같습니다.
이 부분 다시 한번 정확히 용어정리하며 공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.
저처럼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'유상증자'니 '감자'니 하는 용어들을 정리 해 보겠습니다.
반응형
'재테크_싱글 경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초보주식공부] 공매도란??? ( 정말 쉽게 설명 해 봅니다!! ) (0) | 2020.03.11 |
---|---|
초보주식공부 : 유상/무상증자와 감자란? (0) | 2020.03.01 |
[싱글주식공부] 종목찾는법 : 매일 해야 하는 숙제 (0) | 2020.03.01 |
[싱글주식공부] 종목찾는법 : 분기보고서가 말해주는 것들(다트) (0) | 2020.03.01 |
[반성] 주식때문에 속이 쓰린 날...신라젠...정신 차리자...반성하자... (0) | 2019.10.08 |